기술의 이모저모(3)
-
우리는 어떻게 인터넷을 사용할까?
우리가 어떻게 인터넷을 사용할까요? 그냥 서비스를 해주는 회사에서 인공위성으로 우리에게 정보를 줄까요? 하지만 이방식은 latency와 거리 때문에 너무나도 비효율적입니다. 실제로는 광케이블을 이용해 빛으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위와 같이 선박을 이용해서 해저케이블을 깔아 해외에서 우리까지 정보를 전송할 우 있게 되는데요 그럼 어떤 방식과 구조로 우리게에 data를 제공할까요? 그전에 앞서 1.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는 datacenter에 자료와 IP주소에 해당하는 domain주소를 저장해 놓습니다. 회사의 규모에 따라 작은 경우는 head host가 작은 회사들의 여러 domain을 구분해주지만 규모가 큰 facebook, youtube같은 회사들은 datacenter전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2. ..
2019.08.01 -
RFID는 어떻게 동작할까?
RFID의 응용과 Reader와 tag의 신호를 주고받는 간단한 원리는 고등학교 과학지식 정도면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내부적으로는 어떻게 동작할 까요? 응용분야나 관련 전자기적 특성에 대한 설명은 널리고 널렸으니 해당 포스팅에서는 빼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는 Read기가 지속적으로 신호를 방출하면 근처의 RFID tag가 부착된 물건이 feedback signal을 보내게 됩니다. 이는 바코드와 원리가 흡사합니다만 바코드는 스캐너가 바코드와 라인을 맞춰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그런의미에서 signal을 수신하는 범위내에만 있다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좀 더 개선된 기술이라 할 수 있겠죠 그렇다면 RFID system은 실제로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봅시다 rea..
2019.07.25 -
안테나는 어떻게 동작할까?
안테나 송수신원리 전기전신호는 부도체(절연체)를 통과하지못하지만 전자기파는 부도체(유전체)를 통과하면서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이런 전자기파를 전기적신호를 이용해 생성하는 장치가 안테나입니다. 안테나는 공진을 이용해 송수신하고자하는 주파수를 선택하게됩니다. 안테나마다 고유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고있습니다. 안테나는 파장에 비례하게되며 주파수가 클수록 안테나크기는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안테나는 송수신안테나를 따로 만들어내지는 않습니다. 공진을 이용한 1port장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떻게 쓰는지에 달렸습니다. 이는 안테나의 쌍대성이라합니다. 안테나는 전자기파를 사방팔방 균일하게 뿌리는게 아니라 이렇게 빔패턴(beam pattern) 혹은 복사패턴(radiation pattern)으로 신호를 ..
2019.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