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
-
직렬통신
datasheet p.176부터 USART(atmega128에서는 UART대신 USART라고 통칭한다.)의 설정및 동작방식에 대한 설명이 되어있다. datasheet에 따르면 Transmission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1.(UCSRB의)TWEN bit를 set-->USART동작가능, TxD pin이 serial output으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때 동기식으로 전송하는 경우 XCK pin을 통해 동기화되고 비동기식이라면 통신이전에 baud rate와 data format을 사전에 정해야한다.) 2.UDR에 data를 넣음으로서 transmit buffer로 data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shift register가 새로운 data를 받을 준비가 되었다면 shift register로 옮겨 가게 된..
2019.10.18 -
I2C
Atmega128 에서는TWI(Two Wire Serial Interface)라고합니다 여러개의 master과 여러개의 slave가 주소값을 바탕으로 직렬반이중동기 통신을 합니다 (R1, R3는 풀업저항으로 통신을 하고있지 않을 때는 SDA, SCL이 High를 유지하기위함입니다. datasheet상으로는 10k ohm정도를 사용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이때 두가닥의 선으로 통신을 하게되는데 Data를 전송하는 SDA, Clock을 SCL로 공유하며 서로 시간간격을 맞추게 됩니다레지스터의 상세한 내용이나 datasheet는 구글링이나 서적을 찾아보면 나오니 관련 자세한 정보는 찾아보시기 바랍니다.여기서 알아야할것은 TWDR, TWCR, TWSR, TWBR이렇게 크게 4개의 레지스터를 다루게 됩니다. 해당코..
2019.08.03 -
우리는 어떻게 인터넷을 사용할까?
우리가 어떻게 인터넷을 사용할까요? 그냥 서비스를 해주는 회사에서 인공위성으로 우리에게 정보를 줄까요? 하지만 이방식은 latency와 거리 때문에 너무나도 비효율적입니다. 실제로는 광케이블을 이용해 빛으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위와 같이 선박을 이용해서 해저케이블을 깔아 해외에서 우리까지 정보를 전송할 우 있게 되는데요 그럼 어떤 방식과 구조로 우리게에 data를 제공할까요? 그전에 앞서 1.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는 datacenter에 자료와 IP주소에 해당하는 domain주소를 저장해 놓습니다. 회사의 규모에 따라 작은 경우는 head host가 작은 회사들의 여러 domain을 구분해주지만 규모가 큰 facebook, youtube같은 회사들은 datacenter전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2. ..
2019.08.01 -
RFID는 어떻게 동작할까?
RFID의 응용과 Reader와 tag의 신호를 주고받는 간단한 원리는 고등학교 과학지식 정도면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내부적으로는 어떻게 동작할 까요? 응용분야나 관련 전자기적 특성에 대한 설명은 널리고 널렸으니 해당 포스팅에서는 빼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는 Read기가 지속적으로 신호를 방출하면 근처의 RFID tag가 부착된 물건이 feedback signal을 보내게 됩니다. 이는 바코드와 원리가 흡사합니다만 바코드는 스캐너가 바코드와 라인을 맞춰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그런의미에서 signal을 수신하는 범위내에만 있다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좀 더 개선된 기술이라 할 수 있겠죠 그렇다면 RFID system은 실제로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봅시다 rea..
2019.07.25 -
안테나는 어떻게 동작할까?
안테나 송수신원리 전기전신호는 부도체(절연체)를 통과하지못하지만 전자기파는 부도체(유전체)를 통과하면서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이런 전자기파를 전기적신호를 이용해 생성하는 장치가 안테나입니다. 안테나는 공진을 이용해 송수신하고자하는 주파수를 선택하게됩니다. 안테나마다 고유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고있습니다. 안테나는 파장에 비례하게되며 주파수가 클수록 안테나크기는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안테나는 송수신안테나를 따로 만들어내지는 않습니다. 공진을 이용한 1port장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떻게 쓰는지에 달렸습니다. 이는 안테나의 쌍대성이라합니다. 안테나는 전자기파를 사방팔방 균일하게 뿌리는게 아니라 이렇게 빔패턴(beam pattern) 혹은 복사패턴(radiation pattern)으로 신호를 ..
2019.07.18 -
Serial Peripheral Interface
모토롤라에서 개발한 근거리용 통신규격 MCU나 주변장치와 직렬 통신을 위한 규격. 4개의 신호선으로 구성 I2C(TWI)와 비교하면 비교적 덜복잡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1 byte로 데이터가 전송되지만 딱히 얼마를 보내라고 실제로 정해져있지않고 /SS의 조정 타이밍, bit전송순서도 규정되어 있지않아 비교적 자유로은 통신방식에 속한다 ATmega128 의 SPI 신호선 PB7(SCK, Serial Clock) PB6(MISO, Master Input Slave Output) PB5(MOSI, Master Output Slave Input) PB4(/ss, Slave Select) SPCR, SPSR. SPDR3가지 register로 제어 SCK의 파형과 샘플링 시점을 제어하는데는 4가지 방법이 있으며..
2019.07.12